-
퀵노드, 스타크넷 메인넷∙테스트넷 노드 관리 솔루션 제공Crypto 2024. 3. 21. 13:27
· 개발자 '개발 도구 및 노드 관리' 서비스 지원
· 스타크넷 전용 서비스 페이지 및 전담팀 운영퀵노드가 스타크넷 메인넷∙테스트넷 노드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미지=QuickNode)
블록체인 기술 서비스 제공업체 퀵노드(QuickNode)는 이더리움 레이어2 블록체인 스타크넷(STRK∙Starknet)의 메인넷과 테스트넷을 지원한다고 2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스타크넷은 퀵노드의 고효율적인 노드 관리 솔루션을 통해,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배포를 용이하게 하고 확장성을 증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퀵노드는 개발 도구 및 노드 관리 서비스를 통해 스타크넷 메인넷∙테스트넷의 생태계 성장을 촉진하고, 거래 처리 속도를 증가시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스타크넷은 퀵노드의 RPC 노드, API 등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개발자들이 백엔드 관리에 소요하는 시간을 줄이고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지원할 예정이다. 현재 퀵노드는 스타크넷 전용 RPC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테스트넷∙메인넷 모두에서 △웹소켓(WSS)∙HTTPS 프로토콜 기반 노드 API(Node API) △트레이스 API(Trace API) △노드 라이트 API(Node Write API) △패스파인더 API(Pathfinder API) 등 다양한 스타크넷 API를 퀵노드에서 지원하고 있다.
개발자들은 퀵노드를 통해 △빠른 응답 시간과 짧은 대기 시간 △멀티클라이언트 설정을 통한 일관된 성능과 안정성 △자동 확장 멀티노드 네트워크 이용 △전담 지원팀 배치 △개발자 커뮤니티 △포괄적인 문서 라이브러리를 지원받을 수 있다. 퀵노드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스타크넷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낮은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영지식(zk) 롤업을 활용하는 블록체인이다. 유틸리티 토큰인 STRK는 롤업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 수수료로 사용되며, STRK 보유자는 거버넌스 허브를 통하여 프로젝트 운영에 대한 안건을 상정하고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다. STRK는 지분증명(Proof of Stake) 모델 내에서 스테이킹 재원 수단으로 사용되며, STRK 보유자는 시퀀서를 선택하여 토큰을 위임 스테이킹할 수 있다.
STRK 가격은 협정세계시 21일 오전 1시 30분 코인마켓캡 기준, 전일 대비 11.93% 상승한 2.16달러(약 2,866.32원)에 거래 중이다. 시가총액은 15억7083만달러(약 2조845억원)를 기록하며 69위에 랭크되어 있다.
IT타임스 YoungHa Kim (yhkim@ittimes.com)
출처 : https://www.i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7123퀵노드, 스타크넷 메인넷∙테스트넷 노드 관리 솔루션 제공 - IT타임스
블록체인 기술 서비스 제공업체 퀵노드(QuickNode)는 이더리움 레이어2 블록체인 스타크넷(STRK∙Starknet)의 메인넷과 테스트넷을 지원한다고 20일(현지시간) 발표했다.이번 파트너십으로 스타크넷은
www.ittimes.com
'Cryp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믹스 재단, 새 토크노믹스 발표…리저브 물량 4.37억개 소각 (0) 2024.03.21 [3월 21일 코인 시세] 비트코인 7.89%↑, 이더리움 11.40%↑ (0) 2024.03.21 위메이드, UAE 개발사 두 곳과 위믹스 플레이 온보딩 계약 (0) 2024.03.21 비트코인, 일주일 새 15%↓…비트코인 ETF 자금 유출 원인 (0) 2024.03.21 [3월 20일 코인 시세] 비트코인 4.48%↓, 이더리움 6.29%↓ (0) 202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