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이스트, 웨어러블 탑재용 '유연 압전 혈압센서' 개발Big Tech 2023. 4. 18. 01:13
무기물 압전 박막을 고온 열처리 후, 유연기판에 전사하여 혈압센서 제작
미세한 맥박 파형에서 정확한 혈압 측정하는 데 성공연구팀은 요골 동맥에 밀착하여 부착할 수 있는 유연 압전 혈압센서를 제작하였다 (이미지=KAIST) 국내 연구진이 유연 압전 혈압센서와 무선통신 회로를 내장할 수 있는 웨어러블 워치 형태의 시제품을 제작했다.
카이스트(총장 이광형)는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 연구팀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가톨릭의대 협력 연구팀이 혈압 측정을 위한 고민감 웨어러블 유연 압전센서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공동 연구팀은 마이크로미터(머리카락 굵기의 백분의 일) 두께의 초고감도 무기물 압전 박막을 딱딱한 기판에서 고온 열처리 후 유연 기판에 전사하여 혈압 센서를 제작했으며, 피부에 밀착해 혈관의 미세한 맥박 파형에서 정확한 혈압을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혈압 센서는 가톨릭 병원에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에서 모두 자동전자혈압계 국제 인증 기준인 오차 ±5 mmHg 이하, 표준편차 8mmHg 이하의 높은 기준을 만족했다. 또한, 웨어러블 워치에 혈압 센서를 탑재해 연속적인 혈압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됐다.이건재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웨어러블 워치 형태의 혈압 센서는 신뢰성과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연속적인 혈압을 측정할 수 있어 고혈압 환자들을 위한 헬스케어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현재 패치 형태의 수면용 혈압 센서를 추가 개발한 후 창업을 통한 기술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해당 연구는 웨어러블플랫폼 소재기술센터, 휴먼플러스 융합연구개발사업, 바이오∙의료 융합 측정 표준기술개발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3월 24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출처: http://www.i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4카이스트, 웨어러블 탑재용 '유연 압전 혈압센서' 개발 - IT Times
국내 연구진이 유연 압전 혈압센서와 무선통신 회로를 내장할 수 있는 웨어러블 워치 형태의 시제품을 제작했다.카이스트(총장 이광형)는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 연구팀과 한국표준과학연
www.ittimes.com
'Big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루USD, 바이낸스 비트코인 거래 점유율 50% 돌파 (0) 2023.04.18 컴투버스-셀바스AI, 메타버스 내 AI 기술∙사업 협력 (0) 2023.04.18 LS일렉트릭, 獨 '하노버 메세 2023'서 스마트에너지 솔루션 선봬 (0) 2023.04.17 LG화학-中 화유코발트, 1.2조 투자해 새만금에 배터리 전구체 공장 건설 (0) 2023.04.17 2023년형 LG 휘센 이동식 에어컨 출시...소형창에도 설치 (0) 2023.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