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
"뜨거운 햇볕에도 거뜬"…UNIST,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열 내구성 개선Big Tech 2024. 11. 13. 12:34
· 첨가제 비율 최적화로 고열 안정성 메커니즘 구현 · 26.18% 광전변환 효율, 85℃ 고열 안정성 확보 UNIST 탄소중립대학원 김동석 교수팀이 경상국립대학교 이태경 교수팀, 스위스 로잔공대 마이클 그라첼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열 내구성을 저해하는 원인을 밝혀내고, 높은 효율은 유지하면서도 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첨가제 배합을 찾아냈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지는 세계 최고 수준인 26.18%의 광전변환효율을 기록했으며, 25cm² 면적 모듈에서도 23.29% 효율을 달성했다. 또한, 85℃ 고온에서 1,000시간 동안의 내구성 시험을 통해 뛰어난 안정성을 입증했다. IT타임스: https://www.i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
-
정두영 UNIST 교수, 신간 '듣는 마음, 말하는 기술' 발간Big Tech 2024. 11. 12. 01:20
· '듣는 마음, 말하는 기술'로 배우는 현대인 소통법 · 직장과 가정, 상대 마음을 여는 첫걸음은 '경청'https://www.i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53968 정두영 UNIST 교수, 신간 '듣는 마음, 말하는 기술' 발간 - IT타임스유니스트(UNIST∙울산과학기술원, 총장 박종래)는 정두영 의과학대학원 교수가 신간 '듣는 마음, 말하는 기술'을 발간했다고 11일 전했다.이번 신간은 정신과 의사 세 명의 풍부한 임상 경험을 바www.ittimes.com
-
UNIST·취리히대, 금속산화물 광전극 보호 물질 개발Big Tech 2024. 11. 10. 11:58
∙ 광전극에 햇빛 쪼여 수소 생산…광전극 보호층 개발 ∙ 정공만 선택적으로 전달해 효율 올리고 부식 막아https://www.i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53813 UNIST·취리히대, 금속산화물 광전극 보호 물질 개발 - IT타임스유니스트(UNIST∙울산과학기술원, 총장 박종래)는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와 스위스 취리히대학교(UZH) 데이비드 틸레이(David Tilley) 교수 연구팀이 태양광 수소 생산에 쓰는 금속산화물 광www.ittimes.com
-
"건강진단부터 상담까지"…UNIST, 건강증진 앱 '프루토' 출시Big Tech 2024. 11. 6. 12:53
· 상담∙진료 예약, 프로그램 신청, 건강 소식 제공 등 기능 갖춰https://www.i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53365 "건강진단부터 상담까지"…UNIST, 건강증진 앱 '프루토' 출시 - IT타임스UNIST 헬스케어센터는 지난 9월 모바일 건강증진 앱 '프루토(Fruto)'를 오픈했다고 6일 밝혔다.이번 앱은 구성원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해 개발됐다. '프루토'는 스페인어로 열매를 뜻하며, 건강www.ittimes.com
-
울산울주강소특구, UNIST서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테크포럼' 개최Big Tech 2024. 11. 2. 14:45
· 산∙학∙연 전문가 50여명 참여, 기술 협력 방안 모색 · UNIST, '꿈의 이차전지 산업생태계' 로드맵 제시 UNIST가 울산울주강소특구가 1일 교내 산학협력관에서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테크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는 고려아연, 에스아이에스, 이지마이닝 등 울산 지역 기업과 울산시, UNIST,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 산∙학∙연 관계자 50여 명이 한자리에 모였다. UNIST는 포럼에서 친환경적이고 가격 경쟁력이 있는 재활용 기술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를 위해 환경부 과제를 통해 강소특구 기업과 협력하여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고려아연과 사업화 계획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IT타임스: https://www.ittimes.com/news/articleView...
-
UNIST, 과기부 첨단바이오 글로벌 공동연구센터 구축 사업 2건 선정Big Tech 2024. 10. 30. 14:18
· 과기부 총 15개 센터 선정해 245억원 지원 · 차세대 항암 기술, 맞춤형 근육 손상 치료 기술 개발 유니스트(UNIST∙울산과학기술원, 총장 박종래) 생명과학과 이자일 교수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조윤경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첨단바이오 글로벌 공동연구센터 구축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두 교수는 각각 3년간 총 20여억원을 지원받아 유럽, 아시아 연구기관과 바이오 유망 기술 분야에서 공동 연구에 나선다. IT타임스: https://www.i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52682 UNIST, 과기부 첨단바이오 글로벌 공동연구센터 구축 사업 2건 선정 - IT타임스유니스트(UNIST∙울산과학기술원, 총장 박종래)는 생명과학과 이자일 교수와 ..
-
UNIST, 저전력·저발열 'M램' 메모리 반도체 기술 개발Big Tech 2024. 10. 28. 14:03
· 저전력으로 M램에 데이터 저장하는 메모리 소자 개발 · 높은 문턱전류 대신 전압 펄스로 데이터 저장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과 유정우 교수팀이 저전력으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M램(자성메모리) 소자 구조를 실험적으로 입증해냈다. 연구팀이 개발한 메모리 소자는 전압 펄스만으로 메모리에 정보를 쓸 수 있다. 이 소자는 그래핀이 자성절연체인 이트륨 철 가넷(YIG)와 강유전체인 플루오라이드(PVDF)-에틸렌(TrFE) 사이에 끼어 있는 구조인데, 전압 펄스를 가하면 그래핀에 흐르는 전류 방향이 바뀐다. 이 방향에 따라 0과 1을 저장한다. 개발된 메모리 소자에는 역에델스타인 효과, 강자성공명 현상 등과 같은 물리 이론이 적용됐다. 자성절연체의 강자성공명으로 그래핀에 주입된 스핀전류..
-
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어린이 독서활동 지원 AI 로봇 개발Big Tech 2024. 10. 26. 13:56
· 한국문화기술연구소, '도서위치 안내로봇'과 '독서 교감로봇' 개발 · 내달 3일까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시범 서비스 운영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내달 3일까지 주말에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어린이 독서활동 지원 로봇을 시범 운영한다. 주관연구기관인 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는 전국 공공 어린이 청소년도서관에 독서활동 지원 서비스를 확산하고자 '인공지능(AI) 기반 어린이 독서활동 지원 로봇 및 서비스 콘텐츠 개발'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소는 연구 성과로서 어린이의 심리 특성을 반영하여 독서 활동을 지원하는 'UI/UX(사용자 환경/경험) 및 지속 가능한 서비스'와 어린이의 독서 흥미 유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호작용형 로봇 소프트웨어(SW)' 및 '독서활동 지원 로봇' 2종을 개..
-
UNIST, 신약 개발 핵심 '알렌'…안전하고 간단하게 합성Big Tech 2024. 10. 15. 20:42
· 3개 성분 결합…복잡한 화학반응 단순화 · 중간체 분석 통해 합성 과정 원리 밝혀내 유니스트(UNIST) 화학과 홍성유, 얀-우베 로데(Jan-Uwe Rohde) 교수팀이 반응성이 높은 위험한 화학물질 없이도 다양한 성분이 결합된 알렌 합성법을 찾았다. 알렌은 탄소 원자들이 독특한 방식으로 이중 결합한 화합물로, 신약 개발과 합성 화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합성법은 불안정한 유기금속 화합물 대신 더 안정적인 유기 할로겐화물을 사용한다. 유기 할로겐화물은 유기 화합물에 브로민이나 아이오딘 같은 할로겐 원소가 붙어 있는 물질로, 기존보다 안전하게 반응할 수 있다. IT Times: https://www.i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51126 ..
-
"단일 이미지로 필적 감정"…UNIST, 광학 촉각 센서 개발Big Tech 2024. 10. 2. 01:18
· 정적인 힘과 동적인 힘을 분리하여 분석 · 지문, 점자 인식부터 필적 감정까지 가능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이지석, 고현협, 김동혁 교수와 서울대 김정욱 교수 공동 연구팀이 움직이는 터치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광학 촉각 센서를 개발했다. 기존 센서는 정적인 힘만을 측정할 수 있었으나, 연구팀은 정적인 힘과 동적인 힘을 분리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 특히 필적 감정 분야에서 필기 속도와 압력 변화를 가시적으로 표현하고 기계학습 분석을 통해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이 기술의 핵심은 상향 변환 나노 입자에 있다. 이를 활용해 높은 해상도로 동적 힘을 측정할 수 있고, 근적외선을 흡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정확하게 감지한다. IT타임스 : https..